리소스
RESOURCES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전시회 담당자라면 알고 있어야 할 전시회 지원금
기업에게 전시회는 국내외 시장진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소기업, 특히 초기수출 기업이나 스타트업에게 전시회 참가에 드는 상당한 비용은 큰 부담이 되곤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유관 협회 등이 다양한 지원제도를 통하여 참가기업의 실질적인 부담을 완화해 주고 있어 매해 많은 기업들이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시회 담당자라면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할 전시회 지원제도에 대해 전반적인 정리를 하였습니다.
🏢 정부 및 유관기관 전시회 지원 제도
1. 중소벤처기업부
⦁ 수출바우처 사업 (www.exportvoucher.com)
지원 내용: 해외전시 참가비, 통역, 마케팅 등 바우처 형식으로 비용 지원
특징: 기업이 필요에 따라 원하는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 가능
신청 시기: 연 1~2회 정기 모집
⦁ K-Startup 통합관 운영 (www.k-startup.go.kr)
대상: 업력 7년 이내 기업
대상 전시회: CES, VivaTech 등 유망 해외전시회
지원 항목: 부스 제공, 항공/숙박비 일부, 시장 진출 교육, 바이어 매칭 등
⦁ 기타 테마형 지원
지원 경로: 여성기업지원센터,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등 분야별 기관 통해 제공
2. 산업통상자원부 및 KOTRA
⦁ 해외전시회 개별 참가 지원(www.kotra.or.kr)
대상: 해외전시회에 개별 참가하는 중소·중견기업
지원 항목: 부스비, 장치비, 운송비, 마케팅 서비스 비 등 (최대 600만원내 사후 실비 지원)
신청 시기: 전년도 하반기~연초 공고
비고: 정부 및 지자체, 유관기관 타 지원과 중복 수혜 불가
⦁ KOTRA 한국관 공동 참가 (www.gep.or.kr)
형태: 한국관(Korea Pavilion)에 공동참가
지원 내용: 부스 및 장치비, 운송비 지원, 통역/홍보/바이어 매칭 등 제공
선정 기준: 시장성, 산업 적합성, 수출 유망성 등
3. 지자체별 지원 제도
⦁ 국내 전시회 참가 지원
운영 지자체: 서울특별시, 경기도, 부산광역시, 광주광역시 등
지원 내용: 부스임차료(70~100%), 장치비 일부, 홍보비 등
지원 금액: 기업당 200~500만원 수준
신청 시기: 연초 공고, 일부 지자체는 상·하반기 분할
⦁ 해외 전시회 참가 지원
지원 항목: 부스비, 운송비, 항공료 일부 포함 (일부 지자체 최대 800만원)
신청 자격: 해당 지자체 내 본사·공장 보유 기업, 수출실적 기준 존재
접수 기관: 시청 기업지원부서, 지역 경제진흥원, 테크노파크, 킨텍스(경기도 위탁 운영) 등
4. 업종별 협회 및 단체
⦁ 주요 지원기관
한국무역협회(KITA): 회원사 대상 전시 참가 및 마케팅 비용 일부 지원
산업별 협회: 식품, 전자, 의료기기 등 분야별 협회에서 개별 공고 진행
⦁ 활용 팁
협회 회원사는 선발 우대 조건 존재
협회 공지사항 수시 모니터링 필요
정부·지자체와의 중복 수혜 여부는 사전 확인 필요
🧐 중소기업 전시회 실무자들의 활용 방안
- 정기적 일정 확인 및 캘린더화: 대부분의 공고는 연초 또는 전년도 하반기에 집중됩니다. 연간 전시 계획 수립 시 지원사업 일정을 함께 고려하세요.
- 신청서류 전략 작성: 서류 평가가 중심이므로, 제품 경쟁력, 수출 계획, 시장성 등 핵심 항목을 전략적으로 서술해야 합니다.
- 중복 수혜 제한 관리: 동일 전시회에 대해 정부-지자체-협회 중 한 곳만 선택하여 신청 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예상 지원 금액 및 혜택을 비교 분석하여 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 성과관리 및 사후 보고 연계: 많은 지원 사업이 참가 후 결과보고를 요구합니다. 성과 측정에는 EMI 등 전시회 성과 분석 플랫폼을 활용해보세요
각 기관의 공고 시기 및 요건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시고 자사 상황에 맞는 지원을 선별하여 활용해 보세요. 국내 전시회의 경우 최근에게는 각 전시회 홈페이지에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리스트를 정리하여 제공하는 경우가 많으니 이 정보를 활용하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시회 이후에도 성과관리와 분석을 통해 다음 참가의 성과를 높이는 구조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단순히 지원'금'을 받고 참가하는 행위에 그치지 않고 자사의 전시마케팅 역량 자체를 지속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관리하세요.
💻 유관 사이트
- 수출바우처 포털: https://www.exportvoucher.com
- KOTRA 무역투자24: https://www.kotra.or.kr
- 글로벌전시포털 GEP: https://www.gep.or.kr
- 창업진흥원(K-Startup): https://www.k-startup.go.kr
- 국가종합지원포털: https://www.bizinfo.go.kr
- 각 지자체 경제진흥원, 상공회의소, 협회 홈페이지 등
© 2025 전시컨벤션경영연구소(주). 모든 권리 보유. 본 콘텐츠의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합니다. 인용 시 출처를 밝혀주세요.